본문 바로가기

개발일지/기타2

도메인 모델 패턴과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 도메인 모델 패턴 엔티티(Entity)가 비즈니스 로직을 가지고 객체 지향의 특성을 적극 활용하는 것을 도메인 모델 패턴이라 한다. OrderService 의 메서드를 보면 비즈니스 로직이 대부분 엔티티에 있다. 서비스 계층은 단순히 엔티티에 필요한 요청을 위임하는 역할을 한다. ddd(domain driven design)를 접목시킬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한다.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 반대로 엔티티에는 비즈니스 로직이 거의 없고 서비스 계층에서 대부분의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것을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이라고 한다. 즉,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된 로직을 단일 함수 또는 단일 스크립트에서 처리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패턴의 이름이 트랜잭션 스크립트이다. 도메인 모델 패턴 예시 // import는 생.. 2022. 7. 25.
XSS(Cross Site Script)란 XSS(Cross Site Script)란 XSS란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 값에 대한 필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공격자가 입력이 가능한 폼에 악의적인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해당 스크립트가 희생자 측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악의적인 행위를 수행하는 취약점이다. 공격자는 취약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쿠키정보 탈취, 악성코드 감염, 웹 페이지 변조 등의 공격을 수행한다. XSS 공격 종류 Stored XSS (저장형 XSS) * 공격자가 취약한 웹서버에 악성 스크립트를 저장하면 희생자가 해당 자료를 요청할 때 해당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된 응답 페이지가 전달되어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작하는 방식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0EB3359A.. 2022.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