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일지/스프링

프로젝트 실행시키는 3가지 방법

2022. 8. 17.

우선 하나의 서비스를 여러개 기동 시키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1) VM Options -> -Dserver.port=[다른포트]

 

2) $ mvn(./mvnw) spring-boot:run -Dspring-boot.run.jvmArguments='-Dserver.port=-9003'

랜덤포트면

$ mvn(./mvnw) spring-boot:run 만 입력하면 된다.

 

 

3)

$ mvn clean compile package

-> 이거 하면 jarfile이 target 폴더에 생성된다.

$ java -jar -Dserver.port=9004 ./target/user-service-.0.0.1-SNAPSHOT.jar

 

참고로 3번은.. 인텔리j 터미널에서하면

Error: Unable to access jarfile .port=8082

이런식으로 port 번호로 jarfile에 접근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gitbash로 실행시키니 잘된다.

 

참고로 maven 기준으로 설명했는데 gradle도 별반 다르지 않다.

 

랜덤포트로 실행시킬 때는 다음과 같이 실행시키면 된다.

$ ./mvnw spring-boot:run

'개발일지 >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에 AOP를 적용하고 Prometheus로 수집하기  (0) 2025.04.16
@Builder 상속하기  (0) 2022.08.24
필터와 인터셉터  (0) 2022.05.07
스프링 AOP란  (0) 2022.05.07
DI(의존성 주입) 방법  (0) 2022.05.06